블로그 이미지
FMIKS
M.S. (Mechanical Engineering) Contact : fmiks@protonmail.ch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23. 1. 21. 12:44 ETC/전시회

요근래 유난히 국립현대미술관을 순회하며 관람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을 다녀오게되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는 올해의 작가상과 작은방주, 여기 일어서는 땅 전시와 이건희 특별전을 전시하고 있다.

 

 

올해의작가상 |

 

koreaartistprize.org

 

올해의 작가상은 예전부터 꾸준히 관람해오던 전시이다.

 

대학교에서 교양수업중 처음 올해의 작가상을 접하게 된 이후로 대학을 졸업한 이후에도 기회가 되면 꼭 가서 보는 편인데 특히 이번 올해의 작가상은 10주년을 맞아 준비된 전시였다.

 

특히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지금까지 참가했던 작가들과 큐레이터의 인터뷰 영상을 통해 지금까지 전시를 통해 전하고자 했던 내용이 좀더 잘 전해지는 느낌이었다.

 

그리고 이어서 현대자동차에서 후원한 최우람 작가의 작은방주 전시도 매우 인상깊었다.

 

국립현대미술관 youtube

지하 1층 전시실로 내려가면 가장 먼저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원탁" 작품과 전시실 내부에 들어가면 작동 시간에 맞춰 방주가 움직이는 전시를 직접 볼 수 있다.

 

최우람 작가의 "작은 방주" 전시에서 내가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기계장치를 미술 분야에 접목해 움직이는 작품들이 많이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백남준 작가의 미디어 아트 부터 전자장비를 미술에 접목시키는 노력은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지만 이렇게 움직이는 대형 스케일의 작품을 직접 본적은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0123
최우람, "작은 방주" 전시 사진

 

그리고 마지막으로 임옥상 작가의 "여기, 일어서는 땅" 전시가 이번 관람의 대미를 장식했다.

 

임옥상, "여기, 일어서는 땅"

임옥상 작가의 주요 작품들과 흙을 이용한 거대한 작품을 관람할 수 있는데 회화에 흙을 접목한 작품들에서는 작가의 강한 힘을 느낄 수 있는 작품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었다.

 

012

거대한 설치 작품 보다 위 슬라이드의 그림들이 특히 더 기억에 남았다.

 

코로나 사태 이후로 정말 오랜만에 청주관을 시작으로 국립현대미술관을 순회화며 관람하게 되었는데 2023년에는 보다 많은 다양한 전시를 보고자 다짐하는 계기가 되었다.

 

반응형
posted by FMIKS
2023. 1. 2. 23:15 ETC/전시회

평소에도 미술관 가는걸 즐겨 하지만 22년 마지막주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과 과천을 다녀온적은 처음인것 같다.

12월 31일 과천 근처에서 가족행사가 있어 다녀온 이후 가족과 함께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 방문하게 되었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전경


다소 늦은 오후3시에 미술관에 도착해 고 이건희 회장 기증품은 보지 못했지만 상설전시를 보러 간거였기에 크게 아쉽지는 않았다(물론 함께간 다른 가족은 보지 못했던 부분은 아쉬웠다)

연말이었던 탓에 사람은 적은 퍈이었지만 오히려 예상외로 12월 마지막 날에 미술관에 오는 사람들도 더러 있어서 오히려 놀라웠다.

현재 과천관에서는 크게 백남준 기획전과 모던데자인이라는 테마를 주제로 전시를 진행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모던데자인


이번 방문에서 사실 가장 기억에 남는 곳은 옥상정원이었는데 전시를 관람하고 옥상정원에 도착했을때가 5시를 넘길때라 해넘이를 하고 있는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관람을 거의 마칠때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의 마스코트 격인 백남준 작가의 다다익선의 최상부에서 전시관의 돔을 바라보았는데 지금까지 보지 못한 글귀가 적혀 있는것을 보았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1985년 11월 15일 우리 미술 발전에 길이 빛날 전당을 여기에 세우매 오늘 좋은날을 가리어 대들보를 올리니 영원토록 발전하여라"

다른 나라에 비해 크게 뒤쳐져 있던 미술분야의 발전을 염원하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있어 마음을 울리는 글귀였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설립된 이후 이러한 염원이 밑바탕이 되어 지금의 미술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다고 생각해본다.

 

반응형
posted by FMIKS
2023. 1. 1. 23:04 ETC/전시회

 

국내에는 총 4개의 국립현대미술관이 있다. 과천관, 서울관, 덕수궁관, 청주관 이렇게 4군데이고 청주관을 제외하면 모두 접근이 용이한 수도권에 위치해있다.

 

청주관이 개관한 이후에 꼭 한번 방문해 보고 싶었는데 22년 12월 마지막주 화요일에 기회가 되어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청주관은 보이는 수장고라는 테마로 현재 전시가 진행 되고 있다.

 

청주관의 경우 서울관이나 과천관에 비해 관람객의 수가 적고 보이는 수장고라는 전시방식으로 인해 일반적인 관람 경험과는 다른 독특한 경험을 관람객에게 선사해주는것 같다.

 

현재 청주관에서 관람객이 가장 많이 관심을 가질만한 전시품은 역시 고 이건희 회장 기증품인 김환기 작가의 여인들과 항아리 라는 작품일 것이다.

 

이 작품은 한국을 대표하는 근대 미술작가중 한명인 김환기 작가의 작품으로 약 1000호 정도의 크기의 작품이다.

 

김환기, 여인들과 항아리

 

2층에 이 작품만을 위한 전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보다 작품에 집중할 수 있게 소파까지 마련되어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보이는 수장고

 

작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국립현대미술관의 작품 소개를 참고하면 좋을것 같다.(하단영상, 17:01분 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김환기 여인들과 항아리(17분07초 부터)

 

추가적으로 김환기 작품을 소개하는 팜플렛/리플렛의 종이 품질이 매우 좋아 인상깊었다. 종이의 두께와 뒷편의 작품에 대한 설명 때문에 아트샵에 있는 왠만한 기념품 보다 더 좋은 수준이었다.

 

 

 

반응형
posted by FMIKS
2022. 12. 20. 09:31 ETC

지방 출장이 잦지만 그만큼 출장지 주변에 회사 기숙사가 있어 외부 숙소를 이용할 일이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종종 묵을일이 생기게 된다.

비지니스 호텔 체인인 토요코인을 알게 된건 일본 여행을 가고 나서이지만 정작 사용은 한국에 와서 처음 해보게 되었다.

보통은 싱글룸만 사용하는 편이고 싱글룸은 토요코인의 특징(?)인 작은방이 특징인데 이번에 이용한 비지니스 레지던스 싱글은 매우 괜찮았기에 후기를 남기게 되었다.

토요코인 대전 정부청사점

토요코인 싱글의 특징(?)은 좁은 방이었는데 이곳은 무려 소파까지 있다.

토요코인 대전 정부청사점
토요코인 대전 정부청사점

레지던스 타입이라 그런지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는 인덕션(또는 하이라이트; 사옹하지 않아 타입은 기억이 안남)과 싱크대가 있다.

토요코인 대전 정부청사점 화장실

화장실은 비교적 평범한 편이고 일반 싱글보다 조금 넓은것 같다.

레지던스 싱글 비용은 회원가적용 및 공식사이트 예약 할인을 포함해서 총 70300원이 들었다.

다만 정부청사역에서 내려서 약간 걸어야 하는 불퍈함이 있지만 나름 만족한 숙소였다.

 

반응형
posted by FMIKS
2022. 12. 6. 23:23 ETC/Photo

타자기는 사용하기 매우 불편한 사무용품중에 하나다..

지금은 사용하는 사람도 거의 없고 무거우며 고장나면 수리할 길이 없어 막막하다.

그나마 두벌식은 배열이 거의 유사해 쉽게 배울수 있지만 세벌식 네벌식은 굳이 수고스럽게 사용법을 배워야만 제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금도 종종 그 무거운 타자기를 꺼내 좋아하는 시나 글귀를 타자기로 작성한다.

그것은 아마도 타자기 고유의 매력이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타자기 특유의 글자체, 저마다 조금씩 다른 글자의 진하기 그리고 타자시 들리는 특유의 소리....

가끔은 시나 마음에 드는 짧은 글을 타자기로 취는 나의 소소한 취미..



반응형

'ETC > Pho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평역 토요코인에서  (0) 2022.12.0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0) 2022.11.29
Miserere Mei, 2022/08/16  (0) 2022.08.16
습작 - 달, 2020-06-06  (0) 2020.06.07
카메라 정비 및 장비 점검  (0) 2020.06.05
posted by FMIKS